2022 3Q music

2022 3Q music

Assessment

Quiz

Other

1st Grade - Professional Development

Hard

Created by

juheon jung

Used 1+ times

FREE Resource

Student preview

quiz-placeholder

24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조선시대 전기 음악의 특징

유교사상 중시

고려의 향약을 계승

예약 사상을 바탕으로한 궁중음악으로 새롭게 정비됨

들고다닐수 있는 악기가 사용됨

궁중 음악이 크게 쇠퇴

2.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종묘 제례악

조선 시대 역대 임금의 제사(종묘 제례)에 사용되는 음악

판소리에서 발전한 가락

중요 무형 문화제 1호

왕의 행차/ 군대의 행진에 사용되는 궁중음악

유네스코 한류의 인류 무형 문화유산

3.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대취타 

왕의 행차/ 군대의 행진에 사용되는 궁중음악

유네스코 한류의 인류 무형 문화유산

“명금일하 대취타 하랍신다" = 연주시작

“허라금" = 연주 마침

태평소, 나각, 용고, 나발, 자바라, 징

들고다닐수 있는 악기가 사용됨

4.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취타 

대취타를 연주용 관현학곡으로 편곡한 것

궁중의 연례악(궁중연회때 사용되는 곡)으로 사용

들고다닐수 있는 악기가 사용됨

중요 무형 문화제 1호

5.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조선 시대 후기 음악

궁중 음악이 크게 쇠퇴함

양반 중심의 풍류음악 & 서민중심의 민속음악이 발전함

예약 사상을 바탕으로한 궁중음악으로 새롭게 정비됨

유교사상 중시

6.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시나위

무당이 굿판에서 추던 춤에서 유래한 민속무용

무속의식에서 유례되어 기악합주곡으로 발전

전주자들의 즉흥성을 요구하는 전문적인 예술음악

장구가 반주음악으로 사용됨

판소리에서 발전한 가락

7.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살풀이

무당이 굿판에서 추던 춤에서 유래한 민속무용

판소리에서 발전한 가락

궁중의 연례악에 맞취 춤을 춤

전주자들의 즉흥성을 요구하는 전문적인 예술음악

시나위가 반주음악으로 사용됨

Create a free account and access millions of resources

Create resources

Host any resource

Get auto-graded reports

Google

Continue with Google

Email

Continue with Email

Classlink

Continue with Classlink

Clever

Continue with Clever

or continue with

Microsoft

Microsoft

Apple

Apple

Others

Others

By signing up,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Already have an acc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