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시민: 의사소통 에티켓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시민: 의사소통 에티켓

KG

10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KHU2_ Luyện đọc nhanh

KHU2_ Luyện đọc nhanh

University

8 Qs

4/24 구영초 연수

4/24 구영초 연수

University - Professional Development

15 Qs

상처가 더 꽃이다

상처가 더 꽃이다

KG

10 Qs

교실혁명선도교사_연수 과정 및 실천과제 돌아보기

교실혁명선도교사_연수 과정 및 실천과제 돌아보기

10th Grade

14 Qs

설득전략

설득전략

KG

15 Qs

단어 2 말하기1

단어 2 말하기1

1st Grade

10 Qs

어휘 게임(연습)

어휘 게임(연습)

University

15 Qs

kinball

kinball

1st Grade

15 Qs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시민: 의사소통 에티켓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시민: 의사소통 에티켓

Assessment

Quiz

Education

KG

Hard

Created by

HS Cho

Used 2+ times

FREE Resource

10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20 sec • 1 pt

1.학교에서 선생님께 용건이 있을 경우,

'안녕하세요’라고 인사부터 하고 '학반과 이름'을 먼저 밝힌 후, 용건을 이야기하는 것이 기본예의다.

O

X

2.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2.학교생활에서 메신저(카카오톡 등)로 의사소통할 때 지켜야 할 예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공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단체방(예: 선생님과 함께 있는 방)에서는 실명 프로필을 사용한다.

친한 사이가 아닌 경우 자신이 누구인지 먼저 밝힌다.

학교생활 관련 질문을 자신의 휴대폰에 번호가 저장된 선생님께 무작위로 연락해 묻지 않는다.

선생님이 단체방에 공지할 경우, 그 내용을 읽었는지 여부를 짧게 밝힌다.

선생님과 개인 대화를 통한 파일 전송 등은 아무 시간대나 편하게 하면 된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3.다음 중 학교생활에서 이메일로 의사소통하는 방식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이메일 계정을 만들 때 한글 이름을 영문자판으로 썼을 때 나타나는 이상한 단어를 쓰지 않는다.

이메일 계정은 자신의 이름을 활용하거나 정체성이 드러나는 단어로 구성한다.

이메일을 보내면 상대방에게 이름이 보이므로, 자신이 누구인지 드러나도록 실명을 사용한다.

이메일의 서명에 학교명, 학반, 이름, 개인 홈페이지나 SNS 주소 등 자신의 개인 정보를 넣지 않는 것이 좋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4.학교 생활에서 공적인 이메일을 작성하는 방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제목은 상대방이 이메일을 열지 않고도 내용을 짐작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선생님께 메일을 보내는 경우 [질문] 혹은 [제출] 등으로 제목을 시작하면 서로의 시간을 아낄 수 있다.

이메일의 본문 내용은 용건에 대해 최대한 구체적으로 길게 작성한다.

이메일 제목의 길이는 15자 이내로 잘리지 않도록 적당하게 쓴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5.공적인 이메일의 본문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반드시 받는 사람을 부르는 말로 시작한다.(예: 000 선생님께)

두괄식으로 용건을 간단하게 쓰고, 파일 제출만 하는 경우에는 파일 첨부만 하고 본문은 비워둔다.

수신인이 파 일을 열었을 때 첫 페이지부터 볼 수 있도록 첨부파일을 저장하기 전 커서의 위치를 첫 부분에 두고 저장한다.

이메일은 반드시 간단한 인사와 이름으로 마무리한다.

6.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 pt

6.사이버공간에서의 올바른 자세를 모두 고르시오.

무심코 작성한 글이 본의 아니게 다른 사람에게 폭력적인 행위가 될 수 있으므로 글을 쓸 때는 여러 번 신중하게 생각한다.

역지사지의 태도로 부정적인 의미가 없는 별명이라도 듣는 이가 불편하다면 하지 않는다.

친구들의 언행이나 유행을 따라하면서 한 친구를 일부러 피하거나 싫어하는 말로 놀리지 않는다.

다른 사람의 정보를 공개하기에 앞서 반드시 사전에 당사자의 동의를 구한다.

사이버 상의 익명성은 진심이 담긴 글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논리성을 가지고 비난할 수 있다.

7.

MULTIPLE SELECT QUESTION

30 sec • 1 pt

7.사이버 공간에 글을 올릴 때의 올바른 자세를 모두 고르시오.

사실 유무와 관계없이 누군가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말이나 글을 최초로 한 자는 감당해야 할 법률적 책임이 동일함을 인지한다.

확실하지 않은 정보를 전달하거나 타인에게 들은 이야기를 근거로 주장이나 비판을 하지 않는다.

단편적인 사실들의 나열만으로 이야기를 확장시켜 전하지 않는다.

사실 유무를 모른 채 들은 말을 전하기만 하는 것은 자신의 책임이 아니다.

Create a free account and access millions of resources

Create resources
Host any resource
Get auto-graded reports
or continue with
Microsoft
Apple
Others
By signing up,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Already have an account?

Discover more resources fo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