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콘텐츠 설계원리_하`s 퀴즈

수업콘텐츠 설계원리_하`s 퀴즈

Assessment

Quiz

Education

1st Grade

Hard

Created by

‍Eugene Ha

FREE Resource

Student preview

quiz-placeholder

6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DRAG AND DROP QUESTION

3 mins • 3 pts

기본적인 교수체제개발 모형의 요소별 연계성을 고려하여 순서에 맞게 나열하시오.


(a)   (b)   (c)   (d)   (e)  
분석(인재상)
학습목표
평가설계
학습
평가

2.

MATCH QUESTION

3 mins • 4 pts

3.평가의 유형은 진단, 형성, 총괄평가가 있습니다. 알맞게 설명된 항목을 고르시오.

진단평가

'학습자의

특성파악'

수업개선

학습과정평가

퀴즈, 체크리스트

강의만족도 조사

총괄평가

'학습 결과의

양적 분석'

학습동기

자기주도력

선수학습정도

형성평가

'학습자의

이해도 점검'

학점 부여

시험과제

포트폴리오

성찰

3.

OPEN ENDED QUESTION

10 mins • 10 pts

Bloom`s Research(1984)에서 학습자가 완전학습의 단계에 도달 위한 방법을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에서 실행하는 3가지 요소를 포함하여

서술하시오.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4.

MULTIPLE SELECT QUESTION

3 mins • 3 pts

평가도구의 세 가지 조건이 아닌 것을 선택시오.

신뢰도

완성도

타당도

실용성

분산도

5.

OPEN ENDED QUESTION

5 mins • 5 pts

Media Image

다음은 Bloom’s Research (1984), The 2 sigma problem에 관한 결과 자료입니다.

학습성취가 90%에 달하며 전통 수업방식과

2 sigma의 차이를 보이는(1)빨간색 네모칸에 들어갈 수업방식이 무엇인지 쓰고, 이 연구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체적적 (2)교수설계의 단계는 무엇인지 쓰시오.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6.

DRAG AND DROP QUESTION

15 mins • 5 pts

학습자에게 ​ ​ ​ (a)   을 줄 때, 학습자의 장점과 문제점이 무엇 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 (b)   이 누적되기 전에 보완할 수 있게 하고, ​ ​ ​ (c)   을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어떤 부분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구체적인​ (d)   을 제공한다. 성취기준과 학생의 현재 수준의 차이를 알려준다. 그 차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실천 예시를 알려주어야 함.

위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시오.​

피드백
학습결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