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영어교육 방법론

스마트 영어교육 방법론

University

9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인터뷰영어 진단평가

인터뷰영어 진단평가

University

11 Qs

형용사 부사 복습 퀴즈

형용사 부사 복습 퀴즈

11th Grade - University

7 Qs

디지털 교육 퀴즈

디지털 교육 퀴즈

University

8 Qs

11. Imperatives ( Lesson 11 )

11. Imperatives ( Lesson 11 )

University

10 Qs

중2 3과 본문 Review

중2 3과 본문 Review

1st Grade - University

14 Qs

카카오 퀴즈

카카오 퀴즈

University

10 Qs

서울 지하철 스텀프 투어

서울 지하철 스텀프 투어

University

6 Qs

be+adjective+preposition

be+adjective+preposition

University

12 Qs

스마트 영어교육 방법론

스마트 영어교육 방법론

Assessment

Quiz

English

University

Medium

Created by

최정혜 최정혜

Used 3+ times

FREE Resource

9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SELECT QUESTION

1 min • 5 pts

Quest-based Learning(QBL)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QBL은 학생들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도전을 선택하면서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습자의 문제 해결 및 탐구 능력 배양을 위한 프로젝트기반 학습(PBL)을 강화할 수 있다.

학습자가 교수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며 학습 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이 가능하다.

학습자는 재도전을 통해 배울 수 있으며 건강한 경쟁을 할 수 있다.

동료학습자의 학습 진행 상황을 서로 알기 어려우며 경쟁심을 통해 배움을 촉진할 수 있다.

2.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5 pts

다음 중 Quest-based Learning(QBL)에 대한 옳은 설명을 모두 고르세요.

QBL은 학습 결과 및 비형식학습 결과를 정의한 후 학습 단위의 도전 기분 문제 세트인 퀘스트를 설정한다.

퀘스트를 생성할 때 작은 퀘스트의 비중은 최소화하며 큰 퀘스트를 중심으로 설계해야 한다.

퀘스트를 설계할 때 학습자가 현재 무엇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학습자가 퀘스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무엇을 더 배워야 하는지 설계 단계에서 점검해야 한다.

QBL은 활동 기반의 고정된 학습 여정을 학습자들이 경험할 수 있다.

3.

OPEN ENDED QUESTION

1 min • 10 pts

CLIL은 무엇의 줄임말인지 적으세요.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4.

OPEN ENDED QUESTION

3 mins • 20 pts

CLIL과 Immersion Learning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적으세요.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5.

OPEN ENDED QUESTION

3 mins • 20 pts

Immersion Learning과 Immersive Learning이 각각 무엇인지 특징과 차이점을 적으세요.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6.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5 pts

다음 중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구현을 위한 백워드(Backward)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백워드 교육 과정 설계는 목표 달성의 증거인 '평가를 먼저 계획'함으로써 보다 목표 지향적인 수업을 설계하고 교육과정인 수업 내용과 평가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다.

백워드 교육 과정 설계는 수업이 이루어진 후에 평가를 하는 것으로 학습 경험이나 수업 계획을 먼저 세우는 방식이다.

백워드 설계를 적용할 때 다양한 평가 방법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학습활동을 선정할 때 성취기준을 확인하고 핵심질문을 점검한 후 평가인 배움 활동를 계획해야 한다.

7.

OPEN ENDED QUESTION

3 mins • 15 pts

에듀테크 활용 영어 기능 통합 학습의 주요 특징을 세 가지 이상 적으세요.

Evaluate responses using AI:

OFF

8.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0 pts

다음 중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의 선천주의적 관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습득-학습 가설): 성공적인 외국어학습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가설이다.

Input Hypothesis (입력가설): 언어습득은 학습자의 현재 수준보다 한 단계 낮은 입력 자료가 제공될 때 이루어진다는 가설이다.

Affective Filter Hypothesis (정의적 여과장치 가설):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변인이 학습에 도움되는 요소가 된다는 가설이다.

Natural Order Hypothesis(자연적 습득 순서 가설): 문법 체계는 예측 가능한 자연적인 순서대로 습득된다는 가설이다.

Monitor Hypothesis (모니터 가설): 학습자의 발화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잘못된 표현을 개선하거나 수정하는 장치로 학습된 언어적 지식이 학습자의 언어 출력을 감시하는 모니터 역할을 한다는 가설이다.

9.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0 pts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세요.

제2언어습득 관점 중 인지주의적 관점은 사람들이 새로운 정보내 지식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처리하고 재생하는지 등의 학습 과정을 설명하는 관점이다.

제2언어습득 관점 중 사회문화적 관점은 언어습득에 있어서 상호작용을 중시하며 상호작용이 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과 비계(Scaffolding)로 설명한다.

제2언어습득에서 Long의 Interaction Hypothesis(상호작용 가설)는 언어습득에서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의미적 협상과 수정된 상호작용이 함께 이뤄져야 언어적 입력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멀티미디어가 제2언어를 사용하는 상황(context)을 제공할 수 있어서 다양한 담화 속에서 상호작용을 촉진하여 제2언어를 습득한다는 관점은 인지주의적 관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