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University

5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문트01 7주차 퀴즈

문트01 7주차 퀴즈

University

5 Qs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University

10 Qs

문콘기업비즈9주차

문콘기업비즈9주차

University

5 Qs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University

10 Qs

강원도입니다.

강원도입니다.

University

10 Qs

EAS210-Lesson11-1

EAS210-Lesson11-1

University

7 Qs

SK-Ⅱ

SK-Ⅱ

University

6 Qs

문콘입문-변화하는학문이다

문콘입문-변화하는학문이다

University

8 Qs

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Assessment

Quiz

Arts

University

Hard

Created by

전창의 (전창의)

Used 1+ times

FREE Resource

5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음악 시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국내 음악 시장에서는 음반 도소매업 비중이 온라인 음악 유통업 비중보다 더 크다.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는 실물음반 시장의 위축으로 전체 시장이 감소한 후 2023년까지도 아직 2000년 규모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음악 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시장이다.

전 세계 3대 음악 시장은 미국, 일본, 영국이며 한국은 7위에 위치해 있다.

음원 저장 매체는 카세트-LP-MP3-CD 순으로 발전해왔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음악/엔터 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하이브는 멀티 레이블 시스템으로 각 레이블이 독립적 경영을 한다.

하이브는 다양한 레이블을 인수합병하며 기업의 규모를 키워 왔다.

SM은 하이브와 유사하게 멀티 레이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이브의 2023년 매출액은 2조 1,781억원으로 SM, YG, JYP 3사 매출을 합친 것보다 더 많다.

국내 대형 음악/엔터 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략은 해외 진출, IP를 이용한 수익화, 팬덤 중심의 수익화 등이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게임 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국내 게임 시장의 분야별 비중은 PC 게임, 모바일 게임, 콘솔 게임 순으로 크다.

국내 게임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강한 분야는 PC 게임과 콘솔 게임이다.

게임이 국내 전체 콘텐츠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 정도이다.

국내 게임 시장의 주요 수익 모델은 월정액 구독형 과금이다.

국내 게임 기업들에게 가장 중요한 해외 시장이었던 중국은 2017년 3월 판호 발급이 중단되며 큰 위축을 맞이했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웹툰/웹소설 시장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웹툰 서비스는 네이버가 처음으로 시작했다.

웹툰/웹소설 플랫폼의 주요 수익모델은 기다리면무료, 1화당 분절판매, 캐시 충전 등이다.

웹툰 에이전시는 예비작가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운영해 작가 Pool을 확보한다.

웹툰 원작을 웹소설로 옮긴 작품을 노블코믹스라 부른다.

네이버웹툰은 글로벌 시장에서는 국내의 도전만화와 같은 아마추어 창작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광고 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종합광고대행업은 광고물을 광고매체에 광고하는 업무를 총괄대행하는 사업체로 제일기획, 이노션, 대홍기획 등의 대형 기업들이 속해 있다.

2000년 이후 국내 광고 매체 중 가장 비중이 크게 감소한 것은 지상파, 케이블을 합친 TV 광고이다.

2011년 이후 모바일 광고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해오고 있다.

현재 광고 시장에서 온라인(PC, 모바일) 광고 시장의 비중은 약 50% 수준이다.

광고전문서비스업에는 브랜드컨설팅, 마케팅조사, PR, SP 등이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