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기초 퀴즈

함수 기초 퀴즈

12th Grade

8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퀴즈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퀴즈

12th Grade

10 Qs

고등수학 다항식 퀴즈

고등수학 다항식 퀴즈

12th Grade

10 Qs

사각형의 성질(마름모)

사각형의 성질(마름모)

12th Grade

6 Qs

이 문제를 풀면 당신은 憤怒할 것입니다.

이 문제를 풀면 당신은 憤怒할 것입니다.

KG - Professional Development

13 Qs

선형회귀분석과 상관관계분석 퀴즈

선형회귀분석과 상관관계분석 퀴즈

12th Grade

10 Qs

경제학 적분 응용 퀴즈

경제학 적분 응용 퀴즈

12th Grade

5 Qs

음함수정리와 비교정학분석 퀴즈

음함수정리와 비교정학분석 퀴즈

12th Grade

10 Qs

수학적 명제와 추론

수학적 명제와 추론

12th Grade

12 Qs

함수 기초 퀴즈

함수 기초 퀴즈

Assessment

Quiz

Mathematics

12th Grade

Hard

Created by

재영 허

Used 1+ times

FREE Resource

8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함수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함수 관계가 y = f(x)에 대해, 정의역 x의 짝인 공변역의 원소 f(x)를 x의 함숫값이라고 한다

함수는 정의역 X와 공변역 Y가 주어졌을 때, 두 집합의 원소들을 짝지어 주는 규칙이다

X의 원소 하나가 2개 이상의 Y의 원소를 짝으로 가지면 안 된다

X의 모든 원소마다 적어도 1개의 짝이 Y 속에 있어야 한다

Answer explanation

함수는 정의역 X와 공변역 Y가 주어졌을 때, 두 집합의 원소들을 짝지어 주는 규칙이 아니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상수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X = Y = 모든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독립변수가 공식에 없는 함수이다

X = 모든 실수의 집합, Y = c를 제외한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상수 c를 나타낸다

X = 모든 실수의 집합, Y = 양(+)의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상수 c를 나타낸다

X = Y = 모든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일대일 함수이다

Answer explanation

The correct answer is that when X = Y = the set of all real numbers, a constant function is not a one-to-one function.

3.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함수 관계를 만족하는 점들을 좌표계 위에 찍어주면 된다

선형함수의 그래프는 곡선으로 표현된다

선형함수의 그래프에서 a는 Y절편을 나타낸다

소비자의 예산선은 가격이 p인 재화X와 가격이 p인 재화Y를 총 예산I를 모두 지출해서 구매하면 구매량x와y는 pxx + pyy = I 라는 식을 만족한다

Answer explanation

To plot points that satisfy the function relationship on a coordinate system.

4.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함수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감소함수는 독립변수가 증가할 때 종속변수도 증가하는 함수이다

단조함수는 증가함수와 감소함수를 모두 포함하는 함수이다

증가함수는 독립변수가 증가할 때 종속변수도 증가하는 함수이다

부분함수는 여성 x와 부부인 남성 y를 짝짓는 규칙이다

Answer explanation

증가함수는 독립변수가 증가할 때 종속변수도 증가하는 함수이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일대일함수와 역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일대일함수는 y 쪽에서 2개 이상의 x를 짝으로 갖지 않는 함수이다

역함수가 함수이려면 각 y는 2개 이상의 x를 짝으로 가져야 한다

역함수는 정의역과 공변역의 역할을 바꾸어서 반대 방향으로 짝짓기 규칙을 고려하는 것이다

선형함수의 역함수는 y = a + bx의 형태를 가진다

Answer explanation

역함수는 정의역과 공변역의 역할을 바꾸어서 반대 방향으로 짝짓기 규칙을 고려하는 것이다

6.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y = x^2의 역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X = 양(+)의 실수 전체, Y = 실수 전체인 경우, 역함수를 갖지 않는다

X = Y = 양(+)의 실수 전체인 경우, 역함수가 존재한다

X = Y = 실수 전체인 경우, 역함수가 존재한다

X = Y = 실수 전체인 경우, 일대일이 아니므로 역함수를 갖지 않는다

Answer explanation

X = Y = 양(+)의 실수 전체인 경우, 역함수가 존재한다

7.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함수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X의 원소 하나가 2개 이상의 Y의 원소를 짝으로 가지면 안 된다

함수 관계가 y = f(x)에 대해, 정의역 x의 짝인 공변역의 원소 f(x)를 x의 함숫값이라고 한다

X의 모든 원소마다 적어도 1개의 짝이 Y 속에 있어야 한다

함수는 정의역 X와 공변역 Y가 주어졌을 때, 두 집합의 원소들을 짝지어 주는 규칙이다

Answer explanation

X의 모든 원소마다 적어도 1개의 짝이 Y 속에 있어야 한다

8.

MULTIPLE CHOICE QUESTION

1 min • 5 pts

상수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X = Y = 모든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독립변수가 공식에 없는 함수이다

X = 모든 실수의 집합, Y = c를 제외한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상수 c를 나타낸다

X = 모든 실수의 집합, Y = 양(+)의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상수 c를 나타낸다

X = Y = 모든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일대일 함수이다

Answer explanation

Correct choice explanation: X = 모든 실수의 집합, Y = c를 제외한 실수의 집합일 때, 상수함수는 상수 c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