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약품품질관리 1주차 Quiz (202509012)
Quiz
•
Professional Development
•
Professional Development
•
Hard
임정대 Lim
Used 3+ times
FREE Resource
Enhance your content
15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 pt
한 바이오의약품 CDMO 기업이 GMP 감사에서 기준일탈 (OOS, Out of Specification) 발생 후 조사 미흡으로 지적을 받았다. 전사적 품질관리를 실행하기 위한 PDCA 사이클 관점에서, 조직이 취해야 단계별로 적절한 대응을 서술한 보기를 모두 고르시오.
Plan 단계에서 OOS 발생 원인에 대한 조사 프로토콜을 수립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품질 목표를 설정한다.
Do 단계에서 추가적인 데이터 수집 없이 우선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여 감사 대응을 완료한다.
Check 단계에서 조사 보고서와 실제 생산 데이터의 일관성을 검토하고, 원인 규명 과정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Act 단계에서 재발방지를 위한 CAPA (Corrective and Preventive Action)를 수립하고, 표준작업지침 (SOP)을 개정하며 교육을 실시한다.
OOS는 단순히 실험실 오류일 수 있으므로, 이번 사례는 PDCA 사이클 적용과는 무관하다.
Answer explanation
※① Plan 단계: 품질 문제 (OOS)의 발생 원인을 명확히 분석하기 위한 조사 프로토콜과 품질 목표(재발 방지)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PDCA 사이클의 시작점으로 타당하다. ② Do 단계: 단순히 “추가 데이터 없이 결과 보고서만 작성”하는 것은 실행 단계(Do)의 올바른 적용이 아니다. 오히려 데이터 수집 및 개선 실행이 필요하므로 부적절하다. ③ Check 단계: 조사 보고서와 실제 생산 데이터의 일관성 검토, 원인 분석 타당성 평가는 올바른 Check 단계 활동이다.
④ Act 단계: CAPA 도입, SOP 개정, 교육은 지속적 개선(Act)의 핵심이다. 계획 재검토나 중단은 점검(Check) 단계의 역할이지 행동(Act) 단계의 역할이 아니다. Act 단계는 개선안을 표준화하고 확산하는 데 초점을 둔다.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⑤: OOS 발생은 GMP와 품질시스템의 핵심 이슈이므로 PDCA 사이클과 무관하다는 주장은 명백히 잘못된 접근이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다음은 품질시스템을 확보하기 위한 PDCA cycle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PDCA에서 P는 계획 단계를 뜻하며 개선 대상을 품질향상기법을 통하여 분석한 후 개선의 목표를 설정한다
PDCA에서 A는 행동 (act) 단계를 의미하는데 실행 단계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실행의 결과가 계획단계에서 설정된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주요한 활동이다.
PDCA는 기업 전체의 경영과 관련되어 작용하기도 하지만 직무별이나 개인의 업무에서도 PDCA cycle이 적용하여 업무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점검 (CHECK) 단계의 주된 목적은 결과를 목표와 비교하고 원인 및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Act 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활동으로 성공한 개선안을 문서화하고 전체로 확산하여 적용한다
Answer explanation
※PDCA cycle, 즉 계획 (Plan), 실시 (Do), 검토 (Check), 조치 (Action)에 따라서 과정 관리를 실행하고 한번하고 멈추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반드시 실시. 반복 실시 [유지와 개선 연결]를 통해 보다 나은 관리 수준으로 발전.
PDCA는 문제 해결과 지속적 개선을 위한 반복 (순환) 과정.
Plan(계획): 문제 정의 → 목표(정량적 가능) 설정 → 원인 분석→ 개선안 설계 → 측정 지표(KPI)와 실험 계획 수립한다
Do(실행): 계획한 개선안을 작은 범위로 실행하고 데이터·관찰을 수집. 교육·자원 투입도 여기서 진행한다
Check(검증): 수집한 데이터를 목표와 비교해 결과를 분석. 기대한 효과가 있었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확인한다. Check 단계에서는 단순히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을 통해 계획 대비 편차를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Act 단계(지속적 개선)를 추진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Check 단계에서 자주 쓰이는 도구
1. 통계적 공정관리 (SPC, Statistical Process Control):
목적: 생산 과정의 변동을 모니터링하고,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이상 상태를 조기에 탐지
도구 예시: 관리도(Control Chart, X-bar, R-chart 등)
활용: 예를 들어, 바이오의약품 충전 공정에서 충전량이 규격을 벗어나지 않는지 실시간으로 추적
2. 히스토그램 (Histogram)
목적: 측정 데이터의 분포와 산포 정도를 파악
활용: 세포 배양 수율 데이터가 정상 분포를 따르는지, 혹은 편향(偏向)이 있는지 확인
3. 파레토 차트 (Pareto Chart)
목적: 문제 발생 원인의 “중요한 소수(20%)”를 구분하여 우선순위를 정함 (80/20 법칙)
활용: 생산라인 불량 원인 중 가장 많이 기여하는 요인을 시각적으로 도출
4. 원인-결과 다이어그램 (Fishbone Diagram, Ishikawa Diagram)
목적: 문제 발생 원인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분석
활용: OOS 발생 원인이 원재료, 장비, 사람, 방법, 환경, 측정 중 어디에 주로 기인하는지 확인
5. 산점도 (Scatter Diagram)
목적: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원인과 결과의 패턴을 탐색
활용: 예를 들어, 배양 온도와 단백질 수율 간의 관계를 파악
6. 검증 및 감사(Audit, Review)
목적: SOP 준수 여부, 데이터 무결성(Data Integrity), 규제 요건 충족 여부 확인
활용: GMP 환경에서는 내부 품질 감사(Internal Audit)나 배치기록 검토(Batch Record Review)가 필수
Act(표준화·조정): 성공이면 표준화(문서화·교육)하고 전파. 목표 미달이면 원인 재분석 후 Plan 단계로 돌아가 조정한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총체적품질경영 (TQM, Total Quality Management)의 핵심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품질 관리는 품질보증팀 (QA)의 전담 업무이며, 전사적 참여는 필요하지 않다.
TQM은 단순히 제품의 불량률을 낮추는 활동으로,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는 무관하다.
TQM은 전사적 참여를 통해 고객 만족과 지속적 개선을 추구하며, 기업 경쟁력 향상과 직결된다.
TQM은 주로 생산 공정에만 적용되며, 연구개발이나 경영관리 부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TQM은 단기적인 비용 절감 효과에만 초점을 맞춘 품질 관리 방식이다.
Answer explanation
※①: TQM은 전사적 참여가 핵심 원리이므로, 품질보증팀만의 역할로 국한하는 것은 오답. ②: TQM은 단순한 불량률 감소가 아니라 조직 전략과 고객 만족, 장기적 경쟁력 강화와 연계됨. ③ (정답): TQM의 본질은 전사적 참여, 고객 중심, 지속적 개선 (Continuous Improvement, Kaizen)이며, 기업 경쟁력 제고와 직결된다. ④: TQM은 생산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경영, 인적자원, 서비스 전 영역에 적용된다. ⑤: TQM은 단기적 비용 절감이 아니라 장기적 품질 문화 정착과 지속 가능한 경영을 목표로 한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다음 중 의약품의 품질관리 (QC)와 품질보증 (QA)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품질 보증(QA)은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GMP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문서를 관리하며, 최종 제품의 출하 승인 권한을 갖는다.
품질 관리 (QC)는 원료, 자재, 반제품, 완제품의 품질이 설정된 기준에 적합한지 이화학·미 생물 시험 등을 통해 평가하는 사후적 활동의 성격이 강하나 최근 QbD와 같이 설계 수준에서부터 품질관리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사전 활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의약품 제조소의 모든 밸리데이션 (Validation)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 및 관리는 품질 관리 (QC) 부서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다.
GMP 규정에 따라 제조 부서와 품질 부서는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각 부서의 책임자는 분리되어 상호 견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GMP 규정에 따라 제조 부서와 품질 부서는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각 부서의 책임자는 분리되어 상호 견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Answer explanation
※모든 밸리데이션을 주관하고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품질 보증(QA) 부서의 주요 업무이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의약품의 3대 조건 중 해당 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의약품의 안전성
의약품의 안정성
의약품의 유효성
의약품의 유통성
Answer explanation
※의약품의 3대 조건은 유효성,안전성,안정성이다. 약품은 부작용이 없도록 안전하여야 하며, 언제나 동일한 효능을 가질 수 있도록 안정되어야 한다. 또한 의약품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 되므로 일정한 효능을 가져야 한다.
6.
FILL IN THE BLANK QUESTION
1 min • 1 pt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공통의 용어를 쓰시오.
( )란 기계•설비, 원자재, 제조 공정, 시험법 등을 변경할 때 제품의 품질 또는 제조 공정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 )는 의약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관된 품질 보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이러한 ( ) 없이 이루어지는 변경은 제제의 안전성 (safety), 품질 (control), 순도 (purity), 유효성 (efficacy) 또는 역가 (potency)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변경이 이루어지더라도 변경에 의하여 이러한 영향이 없음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검토하여야 한다
Answer explanation
※변경관리 (change control): 기계 설비, 원자재, 제조공정, 시험법 등을 변경할 때 제품의 품질 또는 제조 공정의 재현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의약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관된 품질 보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제조 관리: 제조단위마다 제조기록서 작성, 미생물 오염 방지에 유의하고 청정 등급에 맞도록 관리. 제조위생관리: 청정구역과 작업의 종류에 따라 규정된 작업복, 신발, 모자 마스크를 착용하고, 세제 또는 소독제의 잔류 확인.
7.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변경관리 중 중대한 변경 [Major change(Cmaj)]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제형의 특수성이 인정되는 제제 및 반고형 제제에서서 10배 초과의 생산 규모 변경
원료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추가
고형 제제의 코팅층 무게 변경 (단, 방출제형이 아닌 경우)
완제의약품에 쓰이는 타르색소의 종류 변경
Design Space 변경
Answer explanation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약품 허가 후 제조방법 변경관리 가이드라인” 변경허가(신고) 신청 (Change, C) : 의약품 제조업자‧수입자 등은 「의약품의 품목허가‧신고‧심사 규정」 제3조의2 (의약품의 허가‧신고의 변경 처리) 및 제6조(국제공통기술문서 작성)에 따라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의 제조원 또는 제조방법 중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심사에 필요한 자료를 첨부하여 변경허가(신고) 신청하여야 한다.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경 중 변경사항의 중요도, 충족조건 및 제출자료 요건의 난이도에 따라 Minor change(Cmin)와 Major change(Cmaj)로 구분한다.
Cmaj는 의약품의 품질, 안전성, 유효성에 직접적이고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경을 의미하며, 구분 기준으로는 원료 변경, 첨가제의 종류 및 분량 변경 등이 해당된다.
Cmin는 의약품의 품질, 안전성, 유효성에 경미하거나 거의 영향이 없는 변경을 의미하며, 구분 기준으로는 공정관리 시험 및 기준 추가, 제조 규모 변경, 시험방법 변경 등이 해당된다.
① 제형의 특수성이 인정되는 제제 및 반고형 제제에서 10배 초과의 생산 규모 변경 → 생산 규모의 대폭적 확대 (10배 이상)는 공정 변수, 품질 특성, 장비 적합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중대한 변경에 해당.
② 원료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 추가 → 원료의 변경이나 추가는 불순물 프로파일, 합성 경로, 품질 일관성에 직접 영향을 주므로 중대한 변경으로 분류.
③ 고형 제제의 코팅층 무게 변경 → 코팅층 무게의 일부 변경은 대체로 안정성, 방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비교적 관리 가능한 범위의 변경으로 간주. 이는 중대한 변경이 아닌 경우에 해당 (단, 방출제형 특성에 직접 영향을 줄 경우에는 중대한 변경으로 분류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코팅 무게 조정은 경미 변경으로 보기도 함)
④ 완제의약품에 쓰이는 타르색소의 종류 변경 → 착색제와 같은 첨가물의 변경은 환자 안전성, 알레르기 반응, 규제 기준에 직접 연관되므로 중대한 변경에 해당
⑤ Design Space 변경 → Design Space는 ICH Q8/Q12에서 강조하는 핵심 개념으로, 승인된 범위를 벗어나 새로운 공간을 설정한다는 것은 본질적 공정 변경이므로 반드시 중대한 변경에 해당
Create a free account and access millions of resources
Create resources
Host any resource
Get auto-graded reports

Continue with Google

Continue with Email

Continue with Classlink

Continue with Clever
or continue with

Microsoft
%20(1).png)
Apple

Others
By signing up,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 Privacy Policy
Already have an account?
Similar Resources on Wayground
Popular Resources on Wayground
20 questions
Brand Labels
Quiz
•
5th - 12th Grade
10 questions
Ice Breaker Trivia: Food from Around the World
Quiz
•
3rd - 12th Grade
25 questions
Multiplication Facts
Quiz
•
5th Grade
20 questions
ELA Advisory Review
Quiz
•
7th Grade
15 questions
Subtracting Integers
Quiz
•
7th Grade
22 questions
Adding Integers
Quiz
•
6th Grade
10 questions
Multiplication and Division Unknowns
Quiz
•
3rd Grade
10 questions
Exploring Digital Citizenship Essentials
Interactive video
•
6th - 10th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