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삼국시대 중남부

원삼국시대 중남부

University

8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Phan Bội Châu - Phan Châu Trinh

Phan Bội Châu - Phan Châu Trinh

University

10 Qs

thcc 2

thcc 2

University

12 Qs

세계사 1차 퀴즈(1단원)

세계사 1차 퀴즈(1단원)

8th Grade - University

8 Qs

독도 퀴즈 2/15

독도 퀴즈 2/15

University

4 Qs

한국사 2-1, 2-2

한국사 2-1, 2-2

1st Grade - Professional Development

10 Qs

원삼국시대 중남부

원삼국시대 중남부

Assessment

Quiz

History

University

Hard

Created by

선행 천

Used 4+ times

FREE Resource

8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FILL IN THE BLANK QUESTION

1 min • 1 pt

고고학에서 정의되는 원삼국시대의 특징으로는 1. _______ 소멸, 철생산 및 철기 발달, 철제도구에 의한 2._________ 발전, 지석묘 소멸, 3.________ 토기 출현을 들 수 있다..

2.

FILL IN THE BLANK QUESTION

1 min • 1 pt

원삼국시대 토기에 대하여 영남지역에서는 무덤에 부장되는 회색을 띠는 1. ________가 유행하고, 중부지역에서는 고화도로 소성된 2._________, 서남부지역에서는 3. _______________________가 제작 사용된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고대국가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고대국가가 는 사회진화 단계론론의 무리, 부족, 군장 고대국가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며, 그 특징은 전세계적으로 동일하다

한국 고대국가 형성의 고고학적 지표는 도성과 성곽 출현, 고총고분 출현, 토기양식, 통일, 위세품 제작 및 유통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한국 고대국가 형성과 관련하여 철을 다루는 능력의 장악이 중요하다.

고대국가에서는 세습, 계층화, 전문직화, 농경집약화의 특징도 나타난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원삼국토기의 제작기술적 특징을 모두 고르시오

회전판 성형과 정형

타날기법의 등장

환원염소성

노천소성

5.

FILL IN THE BLANK QUESTION

1 min • 1 pt

변진한지역에서는 목관묘와 목곽묘가 발전하는 데 비해, 마한이 분포하는 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 및 흙을 쌓아 필요에 따라 무덤을 조성하는 형태가 유행하는데 이러한 형식의 무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6.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의 고고학적 특징으로 적합한 설명이 아닌 것은?

대형마을을 3세기부터 출현하고, 아울려 철기, 토기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집단의 마을이 본격적으로 조성된다.

패총유적이 남해안과 서해안 곳곳에서 조사되는데, 이시기 기후 한랭화에 다른 식량자원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형성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출입부 시설이 없는 원형 또는 방형, 장방형 집자리만 확인되고, 온돌시설 없이 부뚜막만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무덤형태로는 주구토광묘, 분구묘 등이 있고 각각은 형태에 따라 지역에 따라 다양성이 확인된다

7.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원삼국시대 동남부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와질토기, 목관묘와 목곽묘, 청동의기, 철기 등에서 다른지역과 구분되는 특징이 보인다.

영남지역 철기는 기원전 2세기에 출현하고, 철을 매개로 한반도와 한군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난다.

문헌으로는 진변한의 차이가 있지만, 고고학적으로는 유사성이 크다. 다만, 일부 세부적으로 토기, 철기 조성, 무덤형태에서 차이가 드러난다.

무덤으로는 목곽묘와 목관묘가 있으며, 대체로 판재관에서 통나무관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8.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 pt

영남지역 원삼국시대 토기의 특징으로 적절한 설명을 모두 고르시오.

처음에는 철기와 함게 삼각형점토대토기가 출현한다. 이후 점차 와질토기로 변화한다.

와질토기는 김해식토기를 일컫는 것으로 목곽묘 단계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와질토기의 출현은 낙랑토기기원설과 전국시대 토기기원설로 보는 두 종류가 있다.

와질토기는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에서도 모두 출현하여 일상생활용 토기를 무덤에 부장한 대표적 토기이다.